겨울이지만 봄처럼 온화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벌써 농촌에서는 논이나 밭두렁을 태우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매년 산불 원인의 2-30%가 논·밭두렁 태우기인 데다, 농사에도 도움이 되지 않아 당국이 집중 홍보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김학무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이번 겨울 강수량이 유달리 적어 바싹 마른 논두렁과 밭두렁에 불을 놓습니다. <br /> <br />바람까지 불면 금세 불이 번집니다. <br /> <br />농민들이 봄에 농사를 새로 짓기 위해 동면하는 해충을 없앤다는 목적으로 습관적으로 하던 일입니다. <br /> <br />볏짚이나 밭작물 줄기, 과수원에서 잘라낸 나뭇가지를 함께 태우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[김주만 / 경기도 고양시 : 다음 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없애버려야 하니까 또 불을 질러서 없애버리려고 자꾸만 불을 놓는 거지, 환경적 차원에서 깨끗하게 하려고 또 자꾸만 없애버리려고] <br /> <br />하지만 논·밭두렁을 태우는 일은 득보다 실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논·밭두렁에 서식하는 곤충 가운데 해충은 11%에 불과하고 나머지 89%는 거미나 톡톡이 등 농사에 도움을 주는 익충이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해충은 주로 흙 속에서 월동하기 때문에 불에 잘 죽지도 않습니다. <br /> <br />[김광호 / 농촌진흥청 농업연구사 : 논두렁을 태우는 것은 해충을 잡는다기보다는 논 유기물 관리를 해주는 익충류와 천적류를 죽이기 때문에 상당히 해롭다고 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논·밭두렁 태우기를 근절하기 위해 수년째 홍보하고 있는 농촌진흥청은 올해 새로운 방법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전국 시군농업기술센터의 지원을 받아 농가에서 나오는 밭작물 줄기나 볏짚 등을 잘게 부순 뒤 퇴비로 사용하도록 하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논·밭두렁을 태우다 적발되면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낸다는 점도 집중적으로 알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학무[mookim@ytn.co.kr]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 [메일] social@ytn.co.kr [온라인 제보] www.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00123180221388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